
토지를 부르는 다양한 부동산 용어를 알아봐요. 엄마가 부를 때는 꿀돼지, 아빠가 부를 때는 두꺼비, 누나가 부를 때는 왕자님 ʘ̥_ʘ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구분의 가짓수가 너무 많아 가장 기본적인 명칭 7가지만 알고 있어도 무리가 없을 것 같아요.명칭내용토지땅을 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대지주택이나 상가 건축물을 지을 수 있거나 지어져 있는 토지택지주택, 상가, 공장 등의 건축물을 지을 수 있는 토지부지주택, 상가, 공장을 포함 하천, 도로, 철도 등을 포함하는 택지보다 큰 개념의 토지필지토지를 세는 기본 단위(지번으로 구분된 토지, 예시 - 서울특별시 행복구 사랑동 1-1번지)획지가격 수준이 비슷한 토지를 블럭개념으로 묶어 부르는 용어맹지주변이 토지들로 인해 도로에 접하지 않은 토지 부지>택지>대지의 구분..

면적을 ㎡로 표기하기로 한 이유는 평(坪)으로 표기하던 방식은 일본식 척관법으로 지난 2007년, 일제 감제정렴시기의 잔재를 지우기 위해 단행되었어요. 1평(坪)은 한변이 1간(間)인 정사각형 넓이로 1간(間) 은 1.818182 미터예요.1평(坪) 은 3.305785 ㎡로 환산하면 되요. 1간은 1,818182 미터라고 하는데 웬일인지 욕같기도 하니 ㎡로 변경하면 좋을 것 같아요.(˚∨˚) 농담입니다. 평수 계산[예시 1] 84.9㎡ 아파트, 대체 몇 평인가요 ? 0.3025를 곱해주면 되요. 84.9 x 0.3025 ≫ 25.68평 평수 계산[예시 2] 100평이면, 몇 ㎡ 가 되나요 ? 3.3057을 곱해주면 되요. 100평 x 3.3057 ≫ 330.57㎡ 변환표 평(坪)변환제곱미..

토지 매매할 때나 토지대장 확인하는 건데 뭐 볼거나 있어요 ? (네 있어요)토지대장은 토지 한 분야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대장과 같이 대조하는 게 중요해요. 많지는 않지만 의외로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다른 경우가 있는데 건물의 소유자는 토지 소유자에게 약정에 따라 지료(地料)를 지불하면서 둘 간의 계약이 성립되어요. 만일, 토지대장의 소유자와 건축물대장의 소유자가 불일치하면 그 이유를 확인하고 임대할 것인 지 매매할 것인지 결정하시면 좋겠어요. 건축물대장, 뭐를 확인해야 할까요 ?매매나 임대를 목적으로 부동산거래를 직접 하려는 사람은 뭘 확인해야 할지 난감할 때가 있어요. 그중 건물에 대한 내역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건축물대장 보는 법을 같이 살펴볼게요. 먼저, 건glancing.tistory..

건축물대장 용도커피 전문점을 오픈할까 해요, 근린생활시설이어야 한다고 듣었는데 '점포'라고 되어 있는 곳은 뭐예요? 근린생활시설이란 주택가와 인접해서 주민들의 생활에 편의를 도울 수 있는 업종의 영업을 해도 되는 상가를 의미해요. 편의점이나 미용실, 교회, 영화관 등이 해당되며 바닥면적이 300㎡ 이하냐 이상이냐에 따라 제1종 근린생활시설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로 구분해요.최근 준공하는 건물에서는 보기 힘들지만 예전에 준공된 건물 중에서는 근린생활시설 대신 점포라고 표기되어 있는 곳이 종종 있었어요. 이게 남의 일이면 "상관없지 않겠어 ?" 라고 대수롭지 않게 넘기겠지만 내일이 되면 "계약하고 인테리어 끝났는데 허가 못 받는 거 아니야 ?!" 라는 불안의 꼬리가 쉬 떨어지지 않는 게 사실이에요. ..